<p></p><br /><br />겨울철 보기만해도 아찔한 얼음 절벽을 오르는 등반객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벌써 올해 등반객 2명이 목숨을 잃는 등 안전관리가 부실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"최근 이렇게 얼음으로 뒤덮인 절벽을 오르다가 나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. 어떤 게 문제인지, 현장으로 갑니다."<br> <br>높이 100m에 이르는 빙벽이 절경을 이룹니다. <br> <br>빙벽 등반을 즐기는 이들에겐 명소로 통하는 곳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근 이곳에 폐쇄 표지판이 붙었습니다. <br> <br>지난 8일, 등반을 하던 50대 남성이 추락해 숨진 겁니다. <br> <br>[빙벽 등반객] <br>"그분이 내려오는 과정에서 그랬다고 하는데…." <br> <br>경찰은 이 남성이 등반 중 로프가 끊어지면서 30m 아래로 추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음날 강원도 양구에서도 빙벽을 오르던 50대가 15m 높이에서 떨어져 숨졌습니다. <br> <br>[주현우 / 환동해특수재난대응단 산악구조대] <br>"로프 매듭이나 확보물 하강기 설치는 두 번, 세 번 서로 체크해서 사고를 미리 방지해야 합니다." <br><br>지난 2017년부터 강원도에서만 8건의 빙벽 사고가 발생해 12명의 사상자를 냈습니다. <br> <br>추락과 저체온증을 비롯해 사고 원인도 다양했습니다. <br><br>"다른 지역에도 빙벽을 찾는 사람들은 많은데요. 안전은 어떻게 지켜지고 있을지, 둘러보겠습니다." <br> <br>수도권의 한 빙벽장. <br> <br>[빙벽 등반객] <br>"이게 안전 장비에요. 이걸 촘촘히 충격을 받을 수 있는 거리마다 하나씩 안전하게 설치하고 가는 거죠." <br> <br>장비를 착용한다고 해도 안전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렇게 큰 얼음 덩어리가 위에서 자주 떨어집니다." <br> <br>[조민정 / 빙벽 등반객] <br>"작은 얼음이라도 높은 데서 떨어지면 중력 때문에 더 세게 충격이 다가와서 작다고 무시했다가 피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." <br><br>전문가들은 온도와 빛의 상태에 따라 얼음의 강도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빙벽 표면은 얼어있는 것처럼 보여도,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[이영주 /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] <br>"(빙벽에) 물기가 있다거나 빙벽 하부 쪽으로 물이 계속 흐르는 상황이라면 얼음이 붕괴되거나 탈락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…." <br> <br>사고가 나더라도 책임은 온전히 개인의 몫입니다. <br> <br>일부 빙벽장에선 모든 사고의 책임은 본인이 진다는 서약까지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강원도 인제 빙벽장에선 10여 명의 등반객들이 얼어붙은 인공폭포에 오르고 있었지만, 안전관리요원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[강원 인제군 관계자] <br>"빙벽이라고 하는 게 안전점검이나 이런 게 애매한 상황이라서 저희가 억지로 제재한다거나 그런 상황은 아니고…" <br> <br>대부분 빙벽장이 안전관리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만큼, 현재로서는 스스로 안전을 챙기는 길밖에 없는 현실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<br> <br>PD 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